반응형
이 리포트는 25년 2월 12일 키움증권에서 발표한 '오랜 기다림 끝에 - 건설업종' 리포트를 정리하였습니다.
키움증권 바로가기
1. 2025년 건설업 전망
2022년 ~ 2024년 건설업은 건자재 가격 상승, PF시장 불안, 미분양 증가로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2025년에는 이런 악재들이 해소될 전망입니다.
- 건자재 가격 안정화와 정부의 공사비 안정화 방안 발표로 공사비 부담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 2023 ~ 2024년 착공 물량이 2025년 매출에 반영되면서 주택 마진 회복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수도권과 비수도권 부동산 시장 전망
수도권 시장 :
- 2025년 준공 물량 감소와 기준금리 인하로 완만한 상승세가 기대됩니다.
- 서울과 수도권의 재건축·재개발은 앞으로의 중요한 공급원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 특히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는 2025~2026년 준공 물량 감소와 정부의 실수요자 중심 정책에 따라 안정적 상승이 예상됩니다.
비수도권 시장:
- 실수요 부족과 준공 후 미분양 증가로 여전히 약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 2025년 공급 물량 감소로 점진적인 개선이 기대되나, 2026년 이후에야 본격적인 안정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3. 건설사의 해외사업 확대와 수주 전략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플랜트 및 인프라 부문 수주 다각화로 해외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025년 주요 기대 프로젝트:
- 현대건설: 북미, 중남미 지역 수주 증가. 코즐로두이 원전 본계약(총 20조 규모) 기대.
- GS건설: 호주 PPP 사업 지속 확장. 4Q24에 수주한 동북아 LNG 터미널 매출 본격 반영.
- DL이앤씨: 미국 GTPP 수주로 북미 시장 진출 확대, 국내 2차 전지 관련 플랜트 수주 예상.
- 삼성 E&A: UAE Taziz 메탄올, 카타르 NGL 프로젝트 등 총 155억 불 규모 파이프라인 확보.
4. 결론
주택 마진 회복과 PF시장 안정화가 2025년 건설사 실적 개선의 핵심입니다.
수도권 비중이 높은 건설사가 우수한 성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GS건설: 수도권 분양 비중 75%, 주택 외 사업 매출 증가로 안정적 성장 기대.
- DL이앤씨: 높은 주택 마진과 안정적인 재무구조, 6% 수준의 주주환원율로 가장 안전한 선택지로 평가됩니다.
이 글은 리포트를 바탕으로 주요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한 것입니다. 투자에 관한 의사결정은 각자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본 글에서 다룬 정보는 참고용일 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증권사 리포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종목의 목표가는 리포트를 직접 참고해 주세요. 본 글에서는 목표가보다는 전망에 초점을 맞춰 정리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
'산업리포트 > 금융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 리포트] 거래대금, 그리고 빈익빈부익부 - 증권 (0) | 2025.03.23 |
---|---|
[NH] 관세 리스크 피하고 증권주 담자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