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리포트는 25년 1월 31일 NH투자증권에서 발표한 '환율 뉴노멀 시대에 돋보일 중소형주' 리포트를 정리하였습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 이상을 유지하며 장기적인 고환율 기조가 예상되고 있다. 과거에는 무역수지가 환율을 좌우했지만, 현재는 금융계정(자본시장)에서의 변화가 더욱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성장성과 호실적을 반영할 수출 중심의 중소형주를 알아보겠습니다.
1. 고환율 장기화 전망
최근 원/달러 환율은 단기적으로 상고하저(상반기 높고, 하반기 낮음) 패턴을 보이겠지만, 하락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NH투자증권은 2025년 원/달러 연평균 환율을 1,380원 수준으로 전망하며, 연간 하단은 1,300원대 초반에 머물 것으로 보고 있다.
과거에는 환율이 무역수지에 의해 결정되는 경향이 강했으나, 현재는 자본시장(금융계정)이 환율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한국의 해외 직접 투자(FDI=Foreign Direct Investment) 증가가 달러 수요를 확대하면서 원화 강세 모멘텀이 약해진 점이 주요 원인이다.
이처럼 미국 경제의 상대적 강세, 한국의 해외 투자 확대, 구조적인 외환시장 수급 변화 등을 고려하면, 1,300원 이상의 고환율 기조는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2. 고환율이 국내 주식시장 및 기업 실적에 미치는 영향
고환율은 한국 기업들의 실적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환율 변동에 취약한 중소형주에 더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
주식시장 영향
- 달러 강세(원화 약세) → 외국인 투자 자금 유출 가능성 증가
- 원화 약세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의 원화 자산 평가액 하락, 매도세로 이어질 가능성
기업 실적 영향
-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 : 원화 약세로 가격 경쟁력 상승 → 수출 증가 및 원화 환산 매출액 증가 가능
- 수입 비중이 높은 기업 :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비용 증가 → 영업이익률 악화
특히, 환율 상승 효과가 더해진 수출 성장 중소형주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3. 2025년 유망한 중소형주 9선
NH투자증권은 수출 비중이 높고, 고환율 수혜가 기대되는 중소형주 9개 종목을 선정했다.
Top Pick
세방전지(자동차 및 산업용 배터리)
- 친환경차(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보급 확대로 AGM 배터리 수요 증가
- 수출 비중 60%, 달러 결제 비중이 높아 환율 상승시 수익성 증가
- 원재료인 납 가격 하락도 긍정적 요소.
칩스앤미디어(반도체 IP)
- AI 반도체 및 영상처리 반도체 IP 시장 확대
- 해외 매출 비중이 높아 달러 강세의 수혜 기대
- AI, 자율주행 등 신기술 확산으로 반도체 IP 수요 증가
토비스(산업용 디스플레이)
- 카지노, ATM, 자율주행 관련 디스플레이 공급
- 해외 매출 비중이 높아 원/달러 환율 상승 시 이익 증가
슈프리마(생채인식 보안 솔루션)
- 글로벌 지문인식 및 얼굴인식 시스템 업체
- 수출 비중이 70% 이상으로 높고, AI 기반 보안 솔루션 수요 증가
그 외 추천 종목
비올(피부미용 의료기기)
- 글로벌 마이크로니들 RF 의료기기 시장 성장
- 수출 비중 90% 이상 → 환율 상승 시 실적 급등 가능
- ITC 특허 소송 승소로 글로벌 입지 강화
바디텍메드(진단 의료기기)
- 코로나 이후 진단 장비 수요 지속 증가
- 글로벌 체외진단(IVD) 시장 성장
이지바이오(사료 및 식품)
- 해외 사료, 식품 사업 확장
- 원자재 가격 하락 및 환율 상승 효과
씨티케이(화장품 및 패키징)
- 북미 시장 중심의 ODM(제조업자 개발 생산) 화장품 기업으로 리오더(재주문) 비중 73%
- FDA 인증 강화 이슈 속에서도 경쟁력 있는 생산 공정 유지.
케이피에프(산업용 패스너)
- 건설,산업용 패스너(볼트,너트) 및 자동차 부품 사업 확장
- 해외 매출 증가로 환율 상승 시 실적 개선 기대
마무리
NH투자증권은 고환율 기조에서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중소형주 9종목을 추천했습니다.
이들 기업은 수출 비중이 높거나, 환율 상승이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op pick : 세방전지, 칩스앤미디어, 토비스, 슈프리마
그 외 추천 종목 : 비올, 바디텍메드, 이지바이오, 씨티케이, 케이피에프
이 글은 리포트를 바탕으로 주요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한 것입니다. 투자에 관한 의사결정은 각자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본 글에서 다룬 정보는 참고용일 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증권사 리포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종목의 목표가는 리포트를 직접 참고해 주세요. 본 글에서는 목표가보다는 전망에 초점을 맞춰 정리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산업리포트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해외 ETF 과세 변경, 투자자들이 꼭 알아야 할 점 (0) | 2025.02.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