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목 리포트

[종목 리포트] AI, 전장 확대와 이구환신 - 삼성전기

반응형

이 리포트는 25년 1월 31일 하나증권에서 발표한 'AI, 전장 확대와 이구환신' 리포트를 정리하였습니다.

 

[종목 리포트] AI, 전장 확대와 이구환신 - 삼성전기

 

삼성전기 4Q24 리뷰 : 부진한 수익성

삼성전기 2024년 4분기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매출액은 2 4,923억 원(YoY +8%, QoQ -5%)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했으나, 영업이익은 1,150억 원(YoY +4%, QoQ -49%)으로 시장 기대치를 크게 밑돌았습니다. 영업이익이 부진했던 주요 원인은 연말 성과급 반영에 따른 영향입니다.

  • 컴포넌트 부문: IT용 매출은 고객사의 연말 재고 조정으로 감소했지만, 전장(자동차 전자장비) 수요는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 패키지솔루션 부문: BGA는 스마트폰 AP 및 메모리용 수요 둔화로 매출이 감소했으나, FCBGA는 서버/네트워크용 기판 공급 증가로 성장세를 기록했습니다.
  • 광학솔루션 부문: 중국 고객사의 신규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고화질 및 줌 기능 강화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며 전분기 대비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1Q25 전망: 수익성 개선으로 실적 성장 기대

2025 1분기 삼성전기의 실적 전망은 긍정적입니다.

  • 예상 매출액: 2조 6,490억 원(YoY +1%, QoQ +6%)
  • 예상 영업이익: 2,000억 원(YoY +11%, QoQ +74%)

특히 영업이익 증가폭이 매출 증가폭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MLCC 및 패키지기판의 수익성 개선 덕분입니다.

  •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AI 서버 및 전장 부문의 비중이 40%를 초과하며 제품 믹스 개선
  • 패키지기판: FCBGA 비중 증가(서버 및 자동차향 비중 50% 이상)로 수익성 향상
  • 스마트폰 부품 수요: 중국의 이구환신 정책으로 유통채널 재고 감소가 예상되며, 이후 스마트폰향 부품 주문이 증가할 가능성

 

AI 수혜 확대, 저평가된 투자 매력

  • AI 서버 및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향 매출 증가로 체질 개선
  • 1분기 제한적인 외형 성장에도 불구하고 이익 레벨 상승
  • 스마트폰향 수요도 2분기부터 개선될 가능성

2024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4% 증가했고, 2025년에는 28% 성장이 예상됩니다. 그러나 현재 주가는 2024년 초 대비 16% 하락한 상황으로, 호실적 + 투자심리 개선 + 저평가라는 3박자가 맞아떨어지는 지금이 좋은 투자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기전자 업종 내 최선호주로 삼성전기를 유지합니다.

 

 

 

이 글은 리포트를 바탕으로 주요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한 것입니다. 투자에 관한 의사결정은 각자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본 글에서 다룬 정보는 참고용일 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증권사 리포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종목의 목표가는 리포트를 직접 참고해 주세요. 본 글에서는 목표가보다는 전망에 초점을 맞춰 정리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