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목 리포트

[종목 리포트] 약세장을 버티는 힘: 정책과 주주환원 - HMM

반응형

이 리포트는 25년 2월 25일 미래에셋증권에서 발표한 '약세장을 버티는 힘: 정책과 주주환원 - HMM' 리포트를 정리하였습니다.

 


미래에셋증권 바로가기

 

약세장을 버티는 힘: 정책과 주주환원 - HMM

 

HMM은 글로벌 컨테이너 해운 시장에서 주요 플레이어로 자리 잡고 있으며, 미국의 중국 해운사 견제 정책과 주주환원 기대감 속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할 전망입니다.

 

1. 2024년 4분기 실적 요약

운임 하락에도 불구하고 선방한 실적

  • 매출액 11.7조 원 (+ 39.3% YoY)
  • 영업이익 3.51조 원 (+500.7% YoY)
  • 영업이익률 30.0% (전년 대비 +23.0%p 개선)

주요 원인 :

미국 USTR(무역대표부)의 중국 해운사 규제 발표 → 경쟁 우위 확보 가능성

운임 하락에도 불구하고, 비용 절감 및 운영 최적화로 선방

 

 

2. 주요 포인트

① 미국의 중국 해운사 견제 → HMM의 경쟁력 강화

미국 USTR은 중국 해운사 및 선박에 대한 수수료 부과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만약 이 정책이 시행된다면, 중국 선사의 태평양 노선 운임 비용이 TEU(컨테이너 단위)당 9~17%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HMM의 경우 컨테이너 선박 중 중국산 비중이 5%에 불과해 영향이 제한적이며, 오히려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가능성이 큽니다.

② 글로벌 해운 시장의 운임 조정 및 선박 운항 환경 변화

2024년 초부터 SCFI(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1,595pt까지 조정받았습니다.

다만, HMM을 포함한 비중국 선사들은 수요 증가에 따른 단가 방어가 가능할 전망입니다.

③ 주주환원 정책 확대 → 배당 및 자사주 매입 기대

HMM은 2025년 2조 원 이상의 주주환원 정책을 시행할 가능성이 높으며, 배당 기일 (2월 24일) 이후 단기적인 약세가 발생하면 적극적인 매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3. 2025년 실적 전망

2025년 실적 전망 :

  • 매출액 : 10.63조 원 (-9.1% YoY)
  • 영업이익 : 2.19조 원 (-37.5% YoY)
  • 영업이익률 : 20.7%

투자 포인트

  • 미국 USTR 정책 시행시, HMM의 상대적 경쟁력 증가
  • SCFI 조정 속에서도 HMM의 단가 방어 가능성 존재
  • 주주환원 정책 확대 기대감

 

 

4. 결론

HMM은 2025년 미국의 해운 정책 변화와 주주환원 정책 확대를 통해 투자 매력이 부각될 가능성이 높은 기업입니다.

운임 하락 속에서도 비용 절감과 시장 점유율 방어가 가능하며, 정책적 수혜가 기대되는 만큼 중장기적인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리포트를 바탕으로 주요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한 것입니다. 투자에 관한 의사결정은 각자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본 글에서 다룬 정보는 참고용일 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증권사 리포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종목의 목표가는 리포트를 직접 참고해 주세요. 본 글에서는 목표가보다는 전망에 초점을 맞춰 정리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